뉴타운

뉴타운 종합
원미 뉴타운
소사 뉴타운
고강 뉴타운
재개발ㆍ재건축
개발프로젝트
택지개발
보금자리주택
역세권 개발
아파트 리모델링
중ㆍ상동신도시
경인/부천 운하

탑배너

뉴타운 개발방식, 신규분양 43.3%ㆍ재건축 40.1% '선호'
78% “도시기능 개선될 것”… 80% “부동산 가격 상승”
경기도, 도민 1천명 대상 ‘뉴타운사업’ 설문조사 결과 
더부천 기사입력 2006-12-29 21:57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5621
| AD |
경기도민은 ‘뉴타운사업’ 시행시 개발 방식에 대해 신규 분양(43.3%)과 재건축(40.1%)을 각각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뉴타운 사업 선정지구의 특성과 해당 지역주민의 여론을 수렴해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도가 지난 9~13일까지 여론조사 전문기관 중앙리서치에 의뢰해 뉴타운 사업 예정지역인 부천(194명)·고양(196명)·안양(134명)·남양주(104명)·의정부(95명)·시흥(84명)·광명(78명)·군포(65명)·구리(50명) 등 도내 9개 지자체 만 19세이상 경기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뉴타운 사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뉴타운 사업 시행후 도시기능 변화에 대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이 77.%로, 변화 없을 것(15.6%), 악화될 것(6.2%) 등이라는 응답보다 훨씬 많아 도시기능 변화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뉴타운 사업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분야로는 환경(23.7%), 교통(21.0%), 교육(15.1%) 등으로, 환경과 교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뉴타운 사업 추진시에도 환경과 교통을 크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특히 뉴타운 사업 시행 후 부동산 가격 영향력에 대해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80.1%로, 현 가격 유지(10.4%), 현 가격보다 내려갈 것(1.3%) 보다 훨씬 높아 뉴타운 사업 추진에 따른 부동산 안정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타운 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67.3%, 찬성율은 67.6%이며 현 거주지 뉴타운 사업 찬성률은 66.6%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뉴타운 사업 종료 후 현 거주지 재정착 여부를 물어본 결과 ‘재정착’이 82.1%로 ‘이사하겠다’(12.7%)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 현 거주지에 대한 애착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타운 사업에 대한 경기도의 향후 역할에 대해 ‘역할 강화’ 의견이 67.8%로 ‘역할 완화’(4.2%) 의견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대상자(경기도민 1천명)를 대상으로 현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대중교통 이용여건에 대한 만족도가 5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자연환경(52.5%), 지역주민 유대관계(48.1%), 도시경관(46.0%), 주택규모(44.7%)등의 순으로 응답했으며, 교육여건(36.2%)과 문화·여가·취미활동(32.0%)은 만족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 종합 만족도에 대해서는 만족(39.5%), 보통(44.6%), 불만족(15.9%)으로 나타나 보통이라는 미온적인 태도가 높아 추후 뉴타운 사업 종료 후의 만족도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부천시, 뉴타운 원미6B구역 정비사업 사용비용 보조금 지급
부천시, 뉴타운 해제 후속대책 발표… 도시계획 규제 획기적 완화
부천시 뉴타운지구 모두 해제… 8월4일 고강뉴타운지구 해제
부천시, 7월7일 원미·소사 뉴타운지구 해제 고시
부천시, 원미·소사뉴타운 지구지정 해제 벽보 첩부
댓글쓰기 로그인

뉴타운
등록된 기사가 없습니다
· 부천FC, 수원 삼성과 1-1로 비겨… 리..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부천시, 2025년 달라지는 행정ㆍ정책 ..
· EBS, 2028학년도 수능 대비 예시 문항..
· 경기학부모지원센터, ‘학생성장 중심..
· ‘세계 지방정부 기후총회’ 경기도 고..
· 김덩연 경기지사. 광명 붕괴 사고 현장..
· 황진희 경기도의원 대표발의, 지방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