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은 ‘뉴타운사업’ 시행시 개발 방식에 대해 신규 분양(43.3%)과 재건축(40.1%)을 각각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뉴타운 사업 선정지구의 특성과 해당 지역주민의 여론을 수렴해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도가 지난 9~13일까지 여론조사 전문기관 중앙리서치에 의뢰해 뉴타운 사업 예정지역인 부천(194명)·고양(196명)·안양(134명)·남양주(104명)·의정부(95명)·시흥(84명)·광명(78명)·군포(65명)·구리(50명) 등 도내 9개 지자체 만 19세이상 경기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뉴타운 사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뉴타운 사업 시행후 도시기능 변화에 대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이 77.%로, 변화 없을 것(15.6%), 악화될 것(6.2%) 등이라는 응답보다 훨씬 많아 도시기능 변화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뉴타운 사업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분야로는 환경(23.7%), 교통(21.0%), 교육(15.1%) 등으로, 환경과 교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뉴타운 사업 추진시에도 환경과 교통을 크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특히 뉴타운 사업 시행 후 부동산 가격 영향력에 대해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80.1%로, 현 가격 유지(10.4%), 현 가격보다 내려갈 것(1.3%) 보다 훨씬 높아 뉴타운 사업 추진에 따른 부동산 안정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타운 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67.3%, 찬성율은 67.6%이며 현 거주지 뉴타운 사업 찬성률은 66.6%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뉴타운 사업 종료 후 현 거주지 재정착 여부를 물어본 결과 ‘재정착’이 82.1%로 ‘이사하겠다’(12.7%) 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 현 거주지에 대한 애착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타운 사업에 대한 경기도의 향후 역할에 대해 ‘역할 강화’ 의견이 67.8%로 ‘역할 완화’(4.2%) 의견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대상자(경기도민 1천명)를 대상으로 현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대중교통 이용여건에 대한 만족도가 55.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자연환경(52.5%), 지역주민 유대관계(48.1%), 도시경관(46.0%), 주택규모(44.7%)등의 순으로 응답했으며, 교육여건(36.2%)과 문화·여가·취미활동(32.0%)은 만족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 종합 만족도에 대해서는 만족(39.5%), 보통(44.6%), 불만족(15.9%)으로 나타나 보통이라는 미온적인 태도가 높아 추후 뉴타운 사업 종료 후의 만족도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