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기술 독립을 넘어 글로벌 기술 강국 도약을 위해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하는 ‘소부장(소재ㆍ부품ㆍ장비) 맞춤형 지원사업’이 최고 6.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얻고 있다.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소부장 맞춤형 지원사업’은 일본 경제침략에 대응하고 기술 독립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민선7기 경기도가 올해 총 2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신규 편성한 사업이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달 8일부터 이달 5일까지 ‘2021년도 소부장 맞춤형 지원사업’ 3개 분야에 대한 공모를 실시한 결과(▶관련기사 클릭), 총 43개사 모집에 167개사가 신청해 평균 3.9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잠재력 높은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맞춤형 지원을 펼치는 ‘소부장 기업육성 지원사업’ 분야는 20개사 모집에 130개사가 지원해 6.5대 1의 경쟁
률을 기록했다.
대-중소기업 간 기술 교류로 소부장 기술 국산화를 도모하는 ‘대ㆍ중소기업 기술교류지원’에는 3개사 모집에 6개사가 지원해 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고, 소부장 중소기업들의 정부 공모사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소부장 정부사업 참여 컨설팅’은 20개사 모집에 31개사가 지원해 1.5대 1의 경쟁률을 각각 보였다.
경기도는 신청기업에 대한 서류심사를 마치는 대로 산ㆍ학ㆍ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선정평가위원회를 통해 4월중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소부장 기업육성 지원사업’ 선정 기업은 시제품 제작과 특허, 인증, 판로 개척 등 맞춤형 사업화 자금 7천500만원을, ‘대ㆍ중소기업 기술교류지원’ 분야 기업은 대ㆍ중소기업 기술 교류를 통한 기술 개발 및 상용화 비용 7천만원을, ‘소부장 정부사업 참여컨설팅’ 기업은 정부시책 전문가 1:1 매칭을 통한 맞춤형 컨설팅 등을 지원받게 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청 특화기업지원과(☎031-8030-3013) 또는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 과학기술지원팀(☎031-776-4855)으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정도영 경기도 경제기획관은 “6.5대 1이라는 경쟁률을 통해 도내 소부장 중소기업들의 높은 관심과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성장 잠재력을 지닌 도내 소부장 기업들의 기업 역량 강화와 사업화를 집중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