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부천시
부천시 인사
원미구(2016. 7.4 폐지)➜2024.1.1복원
소사구(2016. 7.4 폐지)➜2024.1.1복원
오정구(2016. 7.4 폐지)➜2024.1.1복원
10개 광역동➜ 37개동(洞) 행정복지센터
부천도시공사(前시설관리공단)
경기도
중앙부처
현안 과제
지하철
추모공원
공유재산
행정조직
해외교류&방문
재산신고
우체국
주민자치회/마을자치회
동(洞)지역보장협의체

탑배너

부천시 2018년 예산 2조원 넘어서… 2016년 9월 이어 두번째
제2회 추경예산안 2조449억4천330만9천원 규모 부천시의회 제출
기정예산 제1회 추경예산 보다 4.1% 796억2천309만원 증액 편성
일반회계 1조3천819억6천565만원ㆍ특별회계 6천629억7천765만원 
더부천 기사입력 2018-11-29 16:01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6131


▲부천시 2018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규모.

2018년도 부천시 예산이 2조원을 돌파했다. 부천시 예산이 2조원을 돌파한 것은 2016년 9월 제2회 추경예산(2조1천535억7천460만7천원- 일반회계 1조3천4억9천581만5천원ㆍ특별회계 8천530억7천879만2천원)에 이어 두번 째이다. 부천시의 예산 1조원 시대를 연 것은 지난 2007년 9월이다.

부천시는 올해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이미 확정된 부천시 기정예산(제1회 추경예산 1조9천653억2천21만8천원)보다 4.1%(796억2천309만1천원) 증가한 2조449억4천330만9천원을 편성, 29일 개회중인 부천시의회 제232회 제2차 정례회에 제출했다.

이진선 경제국장은 이날 오전 열린 부천시의회 제232회 제2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2018년도 일반․특별회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에 대한 제안설명을 했다.

부천시 제2회 추경예산안(2조449억4천330만9천원)의 일반회계 규모는 1조3천819억6천565만8천원으로 제1회 추경예산보다 1.2%%(180억6천113만2천원)이 증가했고, 특별회계 규모는 6천629억7천765만1천원으로 10.2%(615억6천195만9천원)이 늘어난 것이다.

공기업특별회계는 2천971억4천779만8천원으로 13.3%(349억254만9천원), 기타특별회계는 3천658억2천985만3천원으로 7.9%(266억5천941만원)이 각각 증가했다.

일반회계 세입 내역을 보면 지방세 수입은 4천67억840만원으로 제1회 추경예산과 변동이 없고, 세외수입은 778억4천959만4천원으로 5.1%(37억5찬697만6천원)이 늘었고, 지방교부세는 1.2%(21억3천만원) 늘어난 1천837억100만원, 조정교부금은 3.9%(50억9천만원) 늘어난 1천371억5천900만원, 국ㆍ도비 보조금은 1.5%(67억9천719만6천원)이 늘어난 4천754억7천136만1천원, 보전수입 및 내부거래는 0.3%(2억8천696만원)이 늘어난 1천1억70만3천원이다.

공기업특별회계 세입 내역은 상수도사업은 839억1천380만4천원으로 제1회 추경예산과 변동이 없고, 하수도사업은 19.6%(349억254만9천원)이 늘어난 2천132억3천399만4천원으로, 이 가운데 유보자금이 37.2%(348억9천775만3천원) 증가한 1천287억5천326만4천원이다.

기타특별회계 세입 내역은 공유재산관리가 12.5%(237억7천955만1천원) 늘어난 2천144억7천871만3천원으로, 이 가운데 조정교부금이 100%(10억원) 늘어난 20억원, 보전수입 및 내부거래가 29.0%(220억7천955만1천원) 늘어난 981억1천853만2천원, 지방세교부금이 21,2%(7억원) 늘어난 40억원이다.

또 일반회계 성질별 세출 예산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인건비 13.2%(1천828억2천200만원), 물건비 6.6%(913억7천891만4천원), 경상이전 66.7%(9천212억4천50만3천원), 자본지출 18.3%(1천140억8천380만5천원), 융자 및 출자 0.1%(20억원), 내부거래는 72.7%(225억77만8천원)가 늘어난 3.9%(534억4천161만3천원), 예비비 및 기타는 58.9%(243억7천152만원)가 감소한 1.2%(169억9천882만3천원)이다.

일반회계 기능별 세출 예산은 사회복지 예산이 제1회 추경예산보다 1.5%(89억5천674만2천원) 늘어난 6천193억8천627만원으로 44.8%를 차지했으며, 일반공공행정은 41.97%(224억4천633만1천원) 늘어난 759억2천784만5천원으로 5.5%를 차지했으며, 공공질서 및 안전은 7.9%(9억9천260만원) 늘어난 135억311만3천원으로 1.0%를 차지했다.

또 교육 관련 예산은 2.6%(11억2천995만5천원) 늘어난 451억3천600만1천원으로 3.3%, 문화 및 관광은 4.8%(40억5천107만1천원) 늘어난 893억314만5천원으로 6.5%, 환경보호는 0.5%(4억3천47만1천원) 늘어난 924억3천232만4천원으로 6.7%, 보건은 0.5%(1억4천165만3천원) 감소한 293억4천339만8천원으로 2.1%, 농림해양수산은 98억8천652만5천원으로 0.7%, 산업 중소기업은 1.5%(3억3천534만9천원) 늘어난 233억5천78만3천원으로 1.7%, 수송 및 교통은 1.1%(9억5천868만8천원) 늘어난 864억8천589만7천원으로 6.2%, 국토 및 지역개발은 4.6%(30억2천966만7천원) 늘어난 688억5천168만원으로 5.0%, 예비비는 73.2%(247억2천935만1천원) 감소한 90억7천450만2천원으로 0.7%, 기타는 2천192억8천417만5천원으로 15.9%를 각각 차지했다.

공기업특별회계 성질별 세출 예산은 인건비 103억9천63만6천원(3.50%), 운영경비 539억194만8천원(18.1%), 경상이전 201억7천247만2천원(6.8%), 자본지출 450억1천681만1천원(15.2%), 예비비 및 기타 1천676억6천593만1천원(56.4%)이다.

기타특별회계 성질별 세출 예산은 인건비 18억3천424만3천원(0.5%), 물건비 29억6천673만4천원(0.8%), 경상이전 433억6천560만7천원(11.9%), 자본지출 1천865억1천561만2천원(50.98%), 융자 및 지출 6억800만원(0.2%), 내부거래 404억원(11.0%), 예비비 및 기타 901억3천965만7천원(24.6%)이다.

◆일반회계 주요사업 내역

▲일반 공공행정 분야 224억원

-공유재산관리특별회계 예수금 원금 상환 220억원
-특별회계 예수금 이자 상환 4억원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 10억원

-지능형 CCTV 및 IP 비상벨 시스템 설치 7억원
-안심 CCTV 설치 확대 및 성능 개선 3억원

▲교육 분야 11억원

-학교 다목적 체육관 건립 지원(송내초·상동고·여월중) 10억원
-풀뿌리 교육자치 협력체계 구축 1억원

▲문화 및 관광 분야 41억원

-스마트관광 안내체계 구축 1억원
-오정레포츠센터 야외생활체육시설 조성 5억원
-역곡공원 배드민턴장 증축 4억원
-산새공원 등 생활체육시설 개선 7억원
-작은도서관 조성(신흥동·상동어울마당) 5억원
-원미도서관 리모델링 17억원
-기타 : 2억원

▲환경보호 분야 4억원

-삼정1천 정비사업 손해배상 소송 배상금 4억원

▲사회복지 분야 90억원

-우리동네 초등돌봄 사회적기업 육성 7억원
-생계급여 등 기초생활보장 31억원
-가정양육수당 지원 35억원(감액)
-누리과정 차액보육료 4억원
-기초연금 49억원
-먹적골공원경로당 증축 및 리모델링 3억원
- 장애인 활동지원급여 지원 16억원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증축 및 리모델링 9억원
-장애인연금 급여 지급 4억원
-기타 2억원

▲보건 분야 1억원(감액)

-치매안심센터 운영 2억원(감액)
-기타 1억원

▲산업 중소기업 분야 3억원

-로봇전시관 융합교육시설 구축 3억원

▲수송 및 교통 분야 10억원

-작동 까치울 전원마을 도로정비공사 5억원
-2018년 법인택시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 3억원
-자전거 교통사고 위험지역 정비 1억원
-기타 1억원

▲국토 및 지역개발 분야 30억원

-덕산초교 안전한 통학로(교량) 설치 10억원
-윗소사공원 정비사업 9억원
-서촌공원 환경개선사업 10억원
-소새울공원 화장실 설치공사 1억원
-공원 쿨링포그 설치사업 3억원
-역곡천 소하천 정비사업 3억원(감액)

▲예비비 및 기타 분야 241억원(감액)

-예비비 247억원(감액)
-기타(인건비, 기본경비) 6억원.

◆공기업 특별회계 주요사업 내역

▲인건비 2억원(감액)

-무기계약근로자 인건비 2억원(감액)

▲운영경비 24억원(감액)

-노온정수장 운영 부담금 14억원(감액)
-수도계량기 교체비 등 수선 유지 교체비 8억원(감액)
-기타 2억원(감액)

▲자본지출 10억원(감액)

-배수관 정비 및 상수도 노후관 교체공사 4억원(감액)
-정수장 소형펌프 교체 설치공사 등 유형 자산 취득 4억원(감액)
-베르네천 복개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2억원(감액)

▲예비비 및 기타 384억원

-예비비 384억원.

◆기타특별회계 주요사업 내역

▲경상이전 9억원(감액)

-마을 특화가로 조성사업(호현로 역사만들기) 10억원(감액)
-기타 1억원

▲자본지출 49억원

-작동 군부대 부지 매입비 34억원
-옥길동 복합사회복지시설 부지 매입비 34억원(감액)
-부천 문화예술회관 건립 공사비 20억원
-부천시 박물관 건립 5억원
-종합운동장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조사 2억원
-소사마을 공간 조성(호현로 역사만들기) 10억원
-전통시장 주변 공영주차장 조성 48억원(감액)
-고리울동굴시장 공영주차장 조성공사 40억원
-부천중동시장 공영주차장 조성 5억원
-강남시장 공영주차장 조성 8억원
-수주도서관 건립공사비 7억원

▲예비비 및 기타 226억원

-예비비 226억원.

한편, 부천시가 이날 제출한 재난관리 기금, 부대 이전 및 부지개발사업 기금, 문화예술발전 기금, 자활 기금, 성평등 기금, 아동복지 기금, 노인복지 기금, 도시주거환경정비 기금, 남북교류협력 기금, 식품진흥 기금, 폐기물처리시설 주변 영향지역 주민지원 기금, 옥외광고발전 기금, 통합관리 기금 등에 대한 2018년도 2018년도 기금운용계획 변경안은 다음과 같다.

| AD |
기금 수입계획은 총 599억4천935만4천원으로, 전입금 34억2천712만7천원ㆍ보조금 4억5천438만1천원ㆍ융자금 회수 1억4천537만5천원ㆍ예탁금 원금 회수 32억382만6천원ㆍ예치금 회수 471억1천102만4천원ㆍ예수금 22억5천786만1천원ㆍ이자수입 26억4천748만4천원ㆍ기타 수입 7억227만6천원 등이다.

지출계획은 599억4천935만4천원으로, 비융자성 사업비 49억1천225만7천원ㆍ융자성 사업비 3억1천만원ㆍ인력 운영비 1억2천428만6천원ㆍ예탁금 22억5천786만1천원ㆍ예치금 473억2천838만7천원ㆍ예수금 원리금 상환 46억5천928만원ㆍ기타 지출 3억5천728만3천원 등이다.

2018년말 기금 조성 규모는 재난관리 기금은 384억5천425만4천원, 부대 이전 및 부지개발사업 기금(0), 문화예술발전 기금 49억8천954만8천원, 자활 기금 17억9천233만원, 성평등 기금 28억1천845만9천원, 아동복지 기금 16억157만4천원, 노인복지 기금 52억7천931만원, 도시주거환경정비 기금 171억7천905만3천원, 남북교류협력 기금 10억4천986만1천원, 식품진흥 기금 14억6천881만6천원, 폐기물처리시설 주변 영향지역 주민지원 기금 13억8천593만3천원, 옥외광고발전 기금 9억1천654만8천원, 통합관리 기금 384억7천413만3천원이다.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부천시 2020년 예산 2조2천270억1천910만원 확정
2019년 부천시 예산 1조8천908억1천308만원 확정
부천시의회 3개 상임위, 2019년 예산안 165억9천846만원 삭감
부천시, 2019년도 예산안 1조9천25억원 편성
부천시 2018년 제1회 추경예산 1조9천653억2천21만원 확정
댓글쓰기 로그인

행정
· 부천FC, 수원 삼성과 1-1로 비겨… 리..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부천시, 2025년 달라지는 행정ㆍ정책 ..
·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 ‘도의회 의..
· 경기도교육청 제2기 교육기자단 발대식..
·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국민 안전의 ..
· 경기도, 시흥에서 ‘제2회 경기도 도시..
· 경기도, ‘공동주택관리규약 준칙 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