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6기인 2017년 구축한 ‘경기도 회계시스템’은 어린이집 사용자 측면에서는 편의성을 살리고, 관리감독 측면에서는 효율성을 높인 프로그램으로, 민간회계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보다 비용 절감 및 종이서류 보관의 불편함도 줄일 수 있다.
도는 지난해 9월부터 도내 국공립어린이집이 ‘경기도 회계시스템’을 의무적으로 도입하도록 각 시ㆍ군에 협조를 요청했고, 의무 도입 시행 6개월만인 지난 18일 현재 도내 국공립 어린이집 797곳 모두가 이를 도입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경기도 회계시스템’을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민간어린이집을 포함하면 도내 전체 어린이집 1만1천570곳의 11%인 1천280곳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회계관리 선진화 사업’은 민선6기 보육 공공성 강화 방안으로 어린이집 재무회계의 투명한 운영을 위해 시작했으나, 경기도어린이집연합회의 강한 반대로 2017년 시스템 구축 후 1년 여간 답보상태에 있었다.
| AD |
그러나 민선7기 출범 이후 도와 도의회, 국공립어린이집연합회 회장단과의 수차례 간담회 등을 통해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게 됐다.
특히 도와 경기도 어린이집연합회가 보육정책현안 태스크포스(TF)를 구성ㆍ운영하는 등 꾸준한 소통과 협력을 추진해 많은 민간 어린이집들이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경기도 보육정책과는 “‘경기도 회계시스템’은 모바일앱으로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회계업무 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이서류 관리의 불편함을 덜 수 있는 등 장점이 많다”며 “‘공정’을 강조하는 민선7기 경기도는 생활 적폐 청산 과제로 어린이집 회계시스템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