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부천시
부천시 인사
원미구(2016. 7.4 폐지)➜2024.1.1복원
소사구(2016. 7.4 폐지)➜2024.1.1복원
오정구(2016. 7.4 폐지)➜2024.1.1복원
10개 광역동➜ 37개동(洞) 행정복지센터
부천도시공사(前시설관리공단)
경기도
중앙부처
현안 과제
지하철
추모공원
공유재산
행정조직
해외교류&방문
재산신고
우체국
주민자치회/마을자치회
동(洞)지역보장협의체

탑배너

취임 1년 장덕천 부천시장, 민선 2년차 7대 역점과제 발표
“지난 1년은 시민이 ‘누리는 부천’ 위한 기반 다진 시기
교통ㆍ일자리 갖춘 스마트한 자족도시 만들겠다” 밝혀 
더부천 기사입력 2019-07-09 13:51 l 강영백 기자 storm@thebucheon.com 조회 7637


장덕천 부천시장은 9일 오전 민선7기 취임 1주년 기자회견을 열어 1년간의 주요 성과와 민선7기 2년차에 추진할 7개 역점과제로 ▲경제 활성화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미세먼지 저감 정책 ▲스마트시티 조성 ▲도시재생사업 ▲광역교통망 구축 ▲문화의 산업화 등을 제시하면서 “시민의 더 나은 삶을 위해 교통ㆍ일자리 갖춘 스마트한 자족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2019.7.9 / 사진= 부천시 홍보담당관실 제공

장덕천 부천시장은 9일 “지난 1년은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새로운 정책을 만들고, 정책이 시민의 삶 속에 잘 스며드는 지 살펴본 1년이었다”며 ▲잘사는 부천 ▲숨쉬는 부천 ▲누리는 부천 ▲따뜻한 부천을 위한 성과를 설명한데 이어, 민선7기 2년차에 추진할 7개 역점과제로 ▲경제 활성화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미세먼지 저감 정책 ▲스마트시티 조성 ▲도시재생사업 ▲광역교통망 구축 ▲문화의 산업화 등을 제시하며 “시민의 더 나은 삶을 위해 교통ㆍ일자리 갖춘 스마트한 자족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장덕천 시장은 이날 오전 11시 시청 브리핑룸에서 취임 1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1년간의 주요 성과와 향후 추진할 7대 역점과제를 발표했다.

장 시장은 먼저, 민선7기 1년 주요 성과로 ▲잘사는 부천 ▲숨쉬는 부천 ▲누리는 부천 ▲따뜻한 부천을 위해 추진한 정책과 사업을 소개했다.

■민선7기 1년 주요 성과

◆잘사는 부천= ▲부천IoT혁신센터 개관(1월)- 사물인터넷(IoT) 인프라를 활용한 기술 지원, 인력양성, 창업 지원 등 사업 추진. ▲부천페이 출시(4월)= 청년 배당, 산후조리비 등 정책수당 160억원, 일반 판매 90억원 등 총 250억원 규모 발행. ▲대장동 일원 수도권 3기 신도시 지정(5월)- 대장동, 오정동, 원종동 일원 약 343만㎡, 2만 세대 입주 및 도시첨단산업단지를 포함한 친환경 자족도시 조성. ▲일드림(Dream)센터 개소(5월)-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및 청년ㆍ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한 부천형 일자리 플랫폼으로, 1거점은 위브 더 스테이트 6동 217호(청년 및 취약계층 중점), 2거점은 부천테크노파크 203동 102호(지역산업 및 창업 중점)에 위치. ▲산업통상자원부 ‘2019년 IoT가전 기반 스마트홈 실증형 기술개발사업’ 유치(5월)= 국비 54억원 확보, 스마트 층간 소음 분쟁 예방서비스 등 공동주택 스마트홈 서비스 기술개발사업(2019~2021년), 상동 효성센트럴타운아파트 등 3개 단지 2천145세대 대상 시범 추진.

◆숨쉬는 부천= ▲환경부 그린시티(Green City) 대상(2018년 10월) ▲국토교통부 ‘2019년 스마트시티 테마형 특화단지 조성사업’ 선정(2월)- 국비 20억원 확보, 스마트 미세먼지 클린 특화단지 조성 ▲중국 과학원과 미세먼지 저감 기술교류 협약 체결(4월) ▲스마트 미세먼지 클린 특화단지 마스터플랜 수립(6월) ▲전국 최초 아파트 같은 마을주차장 공동 건립 기본협약 체결(4월)- 여월동 9-28번지 일원 조합 및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공동으로 마을주차장 건립 ▲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공모 선정(5월)- 국비 15억원 확보, 첨단기술로 원도심 주차난 해소.

◆누리는 부천= ▲경기도 최초 독립영화 전용관 ‘판타스틱큐브’ 개관(2018년 12월) ▲부천시 박물관 착공(3월)- 연면적 2천848㎡,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 통합박물관 건립(2020년 개관) ▲BIFAN(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칸영화제 ‘판타스틱7’ 선정(5월)- BIFAN의 우수작품 별도의 심사 없이 칸영화제 출품 ▲‘책을 품은 숲’ 역곡도서관 개관(5월)- 역곡공원 내 연면적 1천494.59㎡에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 연면적 ▲부천문화예술회관 착공(6월)- 부천시청 내 연면적 2만5천658㎡에[ 지하 2층, 지상 5층 규모 클래식 중심 대공연장(1천444석), 소공연장(304석), 전시실, 부대시설 등 2022년 준공 예정 ▲광역동 전환 행정 혁신 완성(7월)- 건축 신고, 도로 관리 등 225개 시청 사무를 광역동으로 이관(총 593개 사무 처리), 공무원 증원 없이 중복업무 수행인력(90명) 현장 업무 재배치.

◆따뜻한 부천=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가입(2018년 9월)-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1기 35개 실행계획 추진 ▲부천시 장애인회관 개관(2018년 11월)- 신흥로 364(내동) 연면적 1천520㎡에 지상 3층 규모 ▲역곡 공공주택지구 지정(2018년 12월)- 춘의동ㆍ역곡동 일원 71만7천679m2에 5천500세대 ▲오정 군부대 이전 확정(2월)- 오정동 148번지 일원 56만1천968㎡에 3천700세대 입주 예정 ▲부천형 공공주택 옥길ZERO주택 입주(3월)- 270호(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고령자 및 주거수급자 공급)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노인분야 선도 자치단체 선정(4월) ▲사회적기업 ‘우리동네 초등봄센터’ 개소(4월)- 2개소, 전국 최초 사회적기업을 통한 초등학생 통합돌봄서비스 ▲여성 안심 무인택배 보관함 설치 운영(4월)- 원미1동 행정복지센터 등 5곳 ▲치매안심센터 및 치매안심마을 운영(2018년 8월~ )- 치매 예방 및 조기 발견, 치매 돌봄 기능 강화. 부천시 치매안심센터(9월 개소 예정)ㆍ소사 치매안심센터(2018년 8월 개소)ㆍ오정 치매안심센터(2018년 12월 개소), 치매안심마을은 소사동 2~4통ㆍ옥길LH1단지아파트ㆍ고강본동 11~14통 등 3곳.

장덕천 시장은 민선7기 2년차에 추진한 7대 역점과제로 ▲경제 활성화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미세먼지 저감 정책 ▲스마트시티 조성 ▲도시재생사업 ▲광역교통망 구축 ▲문화의 산업화 등을 제시하며 세부 계획을 설명했다.

■민선7기 2년 부천시 7대 역점과제

◆경제 활성화(부천경제 선도 3대 프로젝트)= ▲대장동 첨단산업단지 조성(4차산업 실증단지, 서부권 첨단기업벨트 구축- 첨단산업 거점)- 대장동, 오정동, 원종동 일원(수도권 3기 신도시 조성지) 68만㎡ 규모 오는 2029년 준공 목표. 부천시 5대 특화산업(패키징, 금형, 로봇, 조명, 만화) 육성 및 지식기반 관련 기업 유치를 통해 양질의 청년 일자리 확보, 영상문화산업단지 연계 첨단영상 관련 기업 및 항공분야 기업 유치, 중소기업 전용단지 조성 및 산학 협력이 가능한 ‘노사상생특구’ 지정.

▲영상문화산업단지 융ㆍ복합 조성(만화ㆍ영상 등 문화콘텐츠, 첨단기업, 복합시설 등 융ㆍ복합 단지 조성)- 상동 529-2번지 일원 35만1천916㎡(만화영상진흥원, 웹툰융합센터 제외), 오는 2025년 준공 목표. 1단지ㆍ2단지 통합 개발(1단지- 18만9천315㎡ 규모 복합시설용지 6만7천099㎡ㆍ공공지원 용지9천288㎡ㆍ스마트융복합단지 4만7천917㎡ㆍ기반시설 등 6만5천11㎡, 2단지- 16만2천601㎡ 규모 유보지12만3천883㎡ㆍ유수시설 3만8천718㎡), 추진일정- 부천시-GS건설 컨소시엄(7월까지) 사업협상 추진, 부천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 심의(9월 예정, 공유재산 매각), 사업협약 체결(10월 예정), 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 지구단위계획 등) 변경(12월 예정), 토지매매계약 및 사업 착수(2020년), 기대 효과- 기업체 신설 198개, 일자리 46,167명, 생산효과 3조 6천억원 예상.

▲부천종합운동장 일원 융ㆍ복합 개발(첨단기술과 산업이 융합되는 지식산업단지 조성)- 오는 2024년 준공 목표. 춘의동 8번지 일원(舊 여월정수장, 종합운동장 인근) 49만158㎡(개발제한구역 해제 45만4천855㎡), 총사업비 4천103억원(사업시행자 자체 조달),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업 방식은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사업(수용 또는 사용 방식), 도입시설은 융복합 R&D, 컨벤션, 첨단지식산업, 스포츠시설, 친환경 주거시설 조성 등. LH와 실무협약 체결 및 주민 공람을 거쳐 2021년 착공 예정, 기대효과- 기업체 신설 263개, 일자리 2천502명, 지방세 37억~41억원(연간) 예상.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지역을 중심으로 노인 맞춤형 통합케어서비스 제공하는 부천형 선도사업 추진)= 광역동 내 100세건강실, 종합사회복지관 함께 보건 및 민간 복지시설 통합 인프라 구축, 광역동을 통해 강화된 주민자치 등 민간 역량을 극대화해 보편적 선도사업에 필요한 자원 발굴, 오는 12월까지 추진, 2021년 5월까지 시범사업 추진, 9만9천519명 대상 집중관리모델(모델1~3)과 보편적대상(모델4) 투 트랙(Two–track) 운영, 중점관리모델(모델 1,2,3)은 898명(의료급여 및 요양병원 퇴원자, 등급외자 A), 보편적 예방적 모델(모델 4)은 9만8천621명(65세 이상 노인), 총 31개 선도사업 추진- 연계사업(중앙): 12개(의료기관 퇴원지원, 의료급여 사례관리 시범사업 등), 지역 자율형 포괄사업: 8개(노인방문약료 서비스, 돌봄가족 지원 등), 재가 및 주거서비스 사업: 11개(통합돌봄 주치의제, 마을돌봄터 등). 사업비는 45억3천600만원. *모델1(389명): 의료급여 관리사를 통해 대상자 상담 용이, 모델2(180명): 복지부(공단) 빅데이터에 의해 퇴원 가능성이 높음, 모델3(329명): 요양등급 진입 전 대상자로 선도사업을 통한 시설 입소 예방, 모델4(9만8천621명): 부천형 보편적 선도사업을 위한 미래형 모델.

◆미세먼지 저감 정책= ▲스마트 미세먼지 클린 특화단지 조성(2019~2020)- 7개동(춘의, 도당, 중1, 중3, 상2, 상3, 신흥동) 일원, 사업비 48억원(국비 20억원, 시비 28억원), 우리동네 미세먼지 정보(현황, 예보) 서비스(시민 주요 생활권 인근- 버스정류장, 지하철, 교차로 등에 미세먼지 측정기 설치, 촘촘한 미세먼지 측정망으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미세먼지 예보 서비스 제공), 공업단지 비산먼지 해결 서비스(공업단지 도로변 비산먼지 저감 서비스 제공), 통학로 청정-안심공기 제공 서비스(차량 배출 오염물질과 폭염으로부터 학생 통학로 청정-안심공기 제공), 지하철역 미세먼지 저감서비스(지하철역 미세먼지 측정과 저감을 위한 스마트 관리 서비스 제공), 빅데이터 기반 미세먼지 대응 서비스(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각 사업별 정보 제공 등 과학적 대응체계 구축 서비스).

▲국가 미세먼지 저감 R&D사업 플랫폼 구축- ❶버스정류장 공간분리형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개발(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부천시가 국가연구과제 공동 수행 통해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공간 분리형 버스정류장 개발, 2020년까지 상동역 홈플러스 버스정류장, 사업비는 전액 국비 27억원) ❷미세먼지 저감 시범사업 추진(무인헬기 및 스프레이캐논, 광촉매 활용 미세먼지 제거, 사업비 3억3천만원- 미세먼지 청정구역 시범사업 3억원과 광촉매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3천만원, 무인헬기 및 스프레이캐논 미스트 분사 실증 및 효과 검증 후 무인헬기 임차, 스프레이캐논, 미세먼지측정기(2대) 구입, 공공건물 광촉매 대상 선정 후 도포) ❸식물을 활용한 도시 미세먼지 저감(입체 녹화와 집진 패널의 효율 최적화를 통한 미세먼지 문제 해결, 미세먼지 저감 식생 DB 구축, 환경영향 인자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효과 분석, 식생활용 미세먼지 저감 패널 개발, 7월부터~2020년 7월까지 사업비 전액 국비 10억원, 부천마루광장 대기 중 미세먼지 측정 중이며, 7월 설치 완료 예정) ❹이동 중인 차량 활용한 도로먼지 저감(대용량 청정 기능이 가능한 신개념 전극필름 필터 방식 집진기 탑재- 차량 1대, 직화구이 음식점 2곳, 7~9월까지 사업비 전액 국비 8억원, 현재 연구용 차량에 시험운행 중으로 성능 검증 후 관용차인 아이오닉 전기차에 탑재해 실증 예정) ❺도로 물순환 및 IoT 기술을 융합한 물분사 시스템(공중과 도로 물분사로 먼지를 포집, 세척하고 회수 후 저장, 정수하는 기술, 9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사업비 전액 국비 19억원, 오정로에 물분사 시스템 설치 및 바이어폴리머 콘크리트 포장- 오는 9월).

▲양이온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 집진장치 제작 설치(지하 공간 환기구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 전기집진장치 제작 설치)- 2020년까지 부천시청 지하주차장 및 송내 지하차도 환기구, 미세먼지 집진장치 설치해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미세먼지 전구물질을 제거해 지하 공간 부근 청정공기 공급(현재 미세먼지 집진장치를 구조물에 맞게 설계 작업 진행 중).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연구개발 협력사업 추진(중동역을 테스트 베드로 하는 부천시 녹색교통 환경 구현 프로젝트)- 7월부터 2021년까지 중동역 일원, 사업비 6억원, 1호선 중동역 선로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미세먼지에 관한 민원 해소 방안 도출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 국가 R&D사업 수주로 핵심기술, 설계 툴 확보 및 현장 적용성 연구.

▲중국 시안과 미세먼지 저감 공동프로젝트 시행(중국과학원과 미세먼지 저감 기술교류 협약 체결- 4월)- 시안의 대형 공기청정 타워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기술 등 공동프로젝트 시행, 국내 최고 미세먼지 전문가로 구성된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와 업무 협약 체결(7월 예정), 부천시 미세먼지 저감사업의 싱크탱크 역할 수행, 중국과 공동 프로젝트 연구 참여 예정.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는 국내 미세먼지 전문가 250여 명으로 구성, 2005년 설립된 IARA(International Aerosol Research Assembly) 회원단체로 미세먼지 연구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단체.

◆스마트시티 조성= ▲도시성장 단계별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 신규 개발 단계(대장ㆍ역곡스마트 신도시, 오정-군부대 부지 신도시, 영상문화산업단지ㆍ종합운동장 스마트시티), 도시운영 단계(원도심 주차장 공유서비스, 공동주택 IoT 스마트홈서비스, 스마트 상수도 원격 검침), 노후ㆍ쇠퇴단계(도시재생사업).

▲원도심 주차난 해소 위한 주차장 공유사업(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시범사업은 신흥동(상살미)지역 등 오는 12월까지 사업비 30억원(국비 15억, 시비 15억), 마을기업이 운영하는 첨단기술 활용한 주차장 공유 플랫폼 및 신재생에너지(태양광)시스템 구축. 확산 사업은 부천시 전 지역 및 타 자치단체 대상 2020~2022년까지 사업비 480억원(국비 240억, 시비 240억), 주차장 공유 플랫폼 부천시 전역 및 전국 확산.

▲공동주택 스마트홈 서비스 구축(산자부 IoT 스마트 홈 기술개발사업)- 상동 효성센트럴타운 등 3개 단지 2천146세대, 오는 12월까지 사업비 80억원(국비 53억, 시비 6억, 민자 21억원), 스마트 층간소음 분쟁 예방시스템, 세대ㆍ단지 내 공기질 모니터링시스템 등 9개 스마트서비스 기술 개발 및 실증.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구축(국토교통부 공모사업)- 오는 12월까지 소요 예산 13억5천만원(국비 6억, 시비 7억5천만원), 효율적인 도시관제를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방범ㆍ방재, 교통, 재난 등 각 부서별로 산재해 운영 중인CCTV와 시설물 등 현황을 SW기반으로 통합, 국가표준 통합플랫폼(TTA 인증제품) 도입으로 방범ㆍ교통ㆍ재난 서비스 연계, 경찰ㆍ소방 등 유관기관과 실시간 현장 영상 공유를 위한 112ㆍ119 긴급출동 지원 등 5대 연계서비스 구축).

◆도시재생사업= ▲원도심 주차난 해소 프로젝트- 아파트 같은 마을주차장사업(국내 최초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민관협력 거버넌스’로 단지 내 공영주차장(주민공동시설) 공동 건립, 사업 참여 조합(民) + LH + 부천시, 조합은 민간 소규모 공동주택 건립(공영주차장 활용에 따른 토지임대료-감정평가액 수급), LH는 저리(低利)의 사업비 지원, 주택정비사업 보조, 공공임대주택 매입- 일반분양주택 중 미분양 주택, 부천시는 지하 2층 공간에 구분지상권 설정(임대), 공영주차장 건립, 개발내용은 공영주차장 및 공동주택, 공공임대주택, 주민공동시설, 오는 2024년까지 ㅜ소규모주택정비사업구역 10곳 후보지, 주차장 약 1,200면, 사업비는 시비 968억원), 연내 3개소 시범 운영(사업 경과 및 주민 호응도 고려, 향후 5년간 10개소 1,200면 확대).

▲주차장 공유사업- ❶국토부 스마트시티챌린지 사업- 시범사업은 신흥동(상살미), 원미지역 등 오는 12월까지 사업비 30억원(국비 15억, 시비 15억), 마을기업이 운영하는 첨단기술을 활용한 주차장 공유 플랫폼. 확산사업은 2020~2022년까지 부천시 전역 및 타 자치단체, 사업비 480억원(국비 240억, 시비 240억), 주차장 공유 플랫폼 부천 전역 및 전국 확산 ❷학교 개방 등 주차장 공유사업- 오는 2022년까지 아파트, 학교, 종교시설, 공공기관 부설주차장 등 대상 총사업비 6억원, 부설주차장 개방에 따른 업무 협약 완료시 주차장 정비공사 및 주차시설물(카스토퍼, CCTV, 주차관제시스템 등) 지원, 공동주택 주차공유 단지 공동주택 공용시설물 유지보수 지원 보조금 신청시 우선 지원, 개방 현황은 초등학교 64개교 2천227면(개방 30개교 968면, 개방 계획 34개교 1천259면), 중학교 32개교 1천267면(개방 19개교 763면, 개방 계획 13개교 504면), 고등학교 28개교 1천444면(개방 16개교 832면, 개방 계획 12개교 612면), 특수학교 2개교 98면(개방 1개교 22면, 게방 계획 1개교 76면), 학력인증 3개교 8면(개방 계획), 종교시설 56곳 1천183면(개방 47곳 1천17면, 개방 계획 9곳 166면), 공공기관 19곳 1천200면(개방 13곳 676면, 개방 계획 6곳 524면), 아파트 11개 단지 230면(개방) 등 총 215곳 7천657면(개방 137곳 4천508면, 개방 계획 78곳 3천149면).

▲경인선 상부 주차장 조성(경인철도로 인한 도시단절 해소 및 주차장‧공원 확충)- 오는 2022년까지 경인선(부천역~ 부천자유시장), 주차장(204면) 및 공원 조성.

▲부천형 주차로봇 개발사업- 2020년까지 사업비 5억원,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동형 주차로봇 개발, 주차로봇을 운영 및 관리하는 로봇관제시스템 개발 등.

<원도심 도시재생> ▲오정 군부대 부지 도시재생사업(첨단시설 도입한 미래형 스마트시티 조성)- 오는 2025년까지 오정동 148번지 일원 56만1천968㎡(군부대 약 33만㎡, 주변 자연녹지지역 약 23만㎡), 계획인구 및 세대수는 9천850명 3천700여세대, 사업비 6천428억원(민간자본 100%), 사업 방식은 부대 이전 및 기부 대 양여방식 (도시재생)도시개발사업.

▲원미동 및 심곡2동 도시재생사업- 오는 2022년까지 원미2동과 심곡2동, 3대 분야 11개 사업, 사업비 97억원(도비 48억5천만원, 시비 48억5천만원), 원미공동체 플랫폼(주민거점시설) 조성(별빛공원 리모델링 및 플랫폼 신축을 통해 지역공동체 거점 제공), 원미 문화아지트 조성(공유부엌 조성 및 어르신 바리스타 교육), 골목 특화가로 조성(심곡 시민의강 등 주요 거점과 단절된 금강․부흥시장 경제축 연결로 방문객 유입, 시장 경관 개선(금강시장 건물 입면 및 간판정비 사업을 통해 골목 상권 환경 개선), 기후 적응 포켓 조성(공원 리모델링 및 쿨링포그 설치).

◆광역교통망 구축= ▲격자형 지하철 건설(소사~대곡: 소사~ 원종~ 김포공항~ 대곡, 18.36km(부천 6.28㎞), 정거장 5곳(부천 2곳: 부천종합운동장, 원종), 오는 2021년까지 사업비 1조5천251억원, BTL사업- 국토부, 원종~홍대입구: 원종~ 고강~ 화곡~ 홍대입구, 17.3km(부천 3.2㎞), 정거장 9곳(부천 2곳: 원종, 고강), 오는 2014~2025년 예정, 시업비 1조3천288억원, 국토부에서 민자사업 추진).

▲제2경인선 유치- 청학~ 신천(서해선)~ 옥길지구~ 구로~ 노량진, 20.63km 신설(총 노선 37.35km), 사업비 1조3천304억원, 향후 계획은 7월 4일 제2경인선 예타 심사 여부 발표(재정사업평가위원회), 8~9월 제2경인선 예타 노선 변경(옥길지구 경유)신청(부천시ㆍ시흥시→ 국토부→ 기재부).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추진- 경인고속도로 일부(서인천IC~ 부천IC~ 신월IC), 연장 9.97km(부천구간 4.98km, 터널 2.85km), 오는 2023년(지하구간 준공)~ 2025년(상부도로 준공), 사업비 8천256억원(보상비 제외), 민간투자사업,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공동 대응을 위한 인천시와 협의체 구성 예정(7월).

▲대장 신도시 조성 광역교통 개선- S-BRT 신설 16.7km(김포공항역~ 계양지구~ 대장지구~ 부천종합운동장역), S-BRT 노선 부천종합운동장역 연결, 광역 복합환승센터 설치, 경명대로 신설 및 확장, 소사로 확장(원종IC~ 오쇠삼거리), 고강IC 신설(광명서울고속도로), 서운IC 신설(경인고속도로), 외곽순환 지하도로 건설(서창JC~ 김포), 외곽순환 고속도로 하부도로 건설(중동IC~ 서운IC), 대장신도시~ 원종~ 홍대입구 광역철도 연결 등.

◆문화의 산업화= ▲문화인프라 조성 및 유치 ❶문화예술회관 건립(국내 최고 수준 건축음향시설 갖춘 클래식 중심 전문 공연장)- 2022년까지 길주로 210(부천시청 내 현 테니스장, 농구장, 주차장 부지) 연면적 2만5천658㎡(지하 2층, 지상 5층), 클래식 중심 대공연장(1천444석), 소공연장(304석), 전시실, 부대시설 등, 사업비 1천33억원.

❷웹툰융합센터 건립(웹툰 사업과 연계한 만화영상 융합생태계 구축)- 창작과 창업으로 이어지는 일자리 창출 및 콘텐츠산업 집중 육성, 웹툰 작가 400여명, 콘텐츠 기업 20개, 창작인력 200여명, 오는 2022년까지 상동 529-28(영상문화산업단지 내) 연면적 7만6천758㎡, 웹툰융합센터 1만4천844㎡(지하 2층, 지상 8층), 예술인 행복주택 6만1천914㎡(지하 3층, 지상 26층) 850세대, 사업비 1천180억원(웹툰융합센터 360억, 예술인행복주택 820억).

❸게임캐릭터 사업시설 및 e-스포츠 멀티플렉스 조성(게임, 웹툰,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산업 융복합 연계)- 오는 2022년까지 상동 호수공원, 사업비 300억원.

❸국립영화박물관 유치 노력- 영상문화산업단지 내 만화영상산업특구 4만115㎡, 지하 3층ㆍ지상 5층, 건립비 957억원(토지매입비 제외).

▲문화콘텐츠 인재ㆍ기업 육성- 창작, 창업, 비즈니스, 주거의 일체형 인재ㆍ기업유치 시스템 구축(예술인 공공임대주택 850호, 창작게스트하우스 19호실, 웹툰융합센터 작가/기업실 77실, 부천형 육성 인센티브 개발), 대표 콘텐츠기업 육성 및 만화영상콘텐츠산업의 융합생태계 조성(관내 기업 콘텐츠 개발지원을 통한 기업 프로젝트 투자 촉진, 기업(산업)간 융복합 비즈니스 활성화로 지역 산업 동반성장 견인, 산학연관 참여 부천 콘텐츠산업 발전 네트워크 포럼 구성).

△문화콘텐츠 인재ㆍ기업 유치정책 추진= 문화예술인, 창작자, 창업자, 우수 콘텐츠 기업 대상 웹툰융합센터, 예술인주택, 영화박물관 등 유치활동 전개.

| AD |
△만화영상콘텐츠산업 융합생태계 조성사업= 관내 문화콘텐츠 기업(연간 10개사 내외) 대상 콘텐츠개발 최대 1억원, 기업마케팅 최대 3천만원, 콘텐츠 개발ㆍ기업 및 산업간 협력프로젝트ㆍ마케팅 일체, 올해부터 2021년까지 연차별 추진.


▲관광과 예술의 연계- 한국만화박물관(디지털 전시 장비 등 최첨단 전시기법 도입, 체험과 교육 등 문화소비자 중심의 복합문화공간 운용), 부천아트벙커 B39(전시ㆍ공연ㆍ체험ㆍ페스티벌 융합 복합예술관광지,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폐소각장 시설활용 예술작품 전시, 건물경관 조명 등 관광 명소화 사업 추진), 부천세계비보이대회ㆍBBIC- ‘공연 비즈니스 마켓’으로 성장, 스트릿 댄스 산업 중심지 조성과 글로벌 댄스 상품시장 개발).

장덕천 부천시장은 “앞으로도 시민의 곁에서 발로 뛰고 현장에서 소통하는 시장이 될 것”이라며 “모든 시민이 골고루 누리는 정책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장덕천 부천시장, 30일 이임식 민선7기 마무리… “최고의 직원들과 함께한 행복한 시장이었다”
부천시, 2022년 ‘경제·복지·안전·환경’에 행정력 집중
부천시, 10개 광역동 ‘2022년 시정 설명회’ 20~24일 온라인 개최
장덕천 부천시장, ‘2022년 시정설명회’ 12월 20~24일 비대면 실시
장덕천 부천시장, 시민과 온라인 소통 ‘부천아 부탁해’… 누적 1만5천뷰
댓글쓰기 로그인

행정
· 4월 4일부터 제21대 대통령선거 예비후..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부천시, 2025년 달라지는 행정ㆍ정책 ..
· 제21대 대통령선거 선거사무관계자 등..
· 경기도교육청, ‘경기교육 변호사 인력..
· 김동연 경기도지사, SNS 속 ‘저희 어..
· 경기도, ‘창설 제57주년 예비군의 날..
· 부천도시공사, ‘전자서명’ 확대로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