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가 25일 전격 사퇴했다.
한 내정자의 전격 사퇴는 국외에서 수년간 수십억원에 이르는 거액의 비자금 계좌를 운용하며 탈세를 해왔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내정자는 이날 오전 사퇴의 변을 통해 “저의 공정거래위원장직 수행의 적합성을 놓고 논란이 제기돼 국회 청문회 일정조차 잡히지 않은 채 장시간이 경과하고 있고, 이로 인해 정부의 순조로운 출범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며 “이 시간부로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의 지위를 사퇴하고 본업인 학교로 돌아가 학자로서 국가와 국민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한 내정자는 지난 14일 내정된 이후 김앤장, 율촌 법률사무소 등 대형 로펌에 근무한 경력으로 인해 ‘경제 검찰’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장직에 대기업의 입장을 대변해 왔다는 점에서 적합성 논란에 휩싸였고, 재산 신고액 108억9천여만원 가운데 본인 재산이 102억원으로 90억6천700만원은 은행과 증권사 예금이어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변하는 조직의 수장으로는 적철치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런 와중에 대형 로펌 변호사로 장기간 근무하면서 해외에 수십억원의 비자금 계좌를 개설하고, 수억원대의 세금을 탈루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민주통합당 김기식 의원은 한 내정자가 제출한 국회 인사청문회 자료에서 2006~2010년 종합소득세 1억7천767만원을 2011년 7월에 납부한 사실을 확인했고, 이를 국외 비자금 관련한 세금으로 추정, 2011년 국세청의 국외자산 자진신고제도 도입을 계기로 국외 비자금 계좌를 뒤늦게 신고했다고 주장했다.
한만수 내정자의 사퇴로 박근혜 정부 출범에 따른 새 정부의 조각(組閣) 과정에서 중도 사퇴한 장·차관급 인사는 김용준 국무총리 내정자·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장관 내정자·황철주 중소기업청장 내정자·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 김학의 법무부 차관 등 6명에 이른다. 이로 인해 청와대의 인사검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