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업데이트
정세균 의원은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총 투표 참석의원 121명 가운데 71표를 획득, 35표를 얻는데 그친 6선의 문희상 의원을 36표 차로 크게 앞섰다.
5선의 박병석 의원은 9표, 6선의 이석현 의원은 6표를 얻는데 그쳤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새누리당, 국민의당 등 여야 3당 원내대표는 어제(8일) 20대 국회 전반기 원(院)구성 협상을 타결,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의장을 맡고, 부의장은 새누리당과 국민의당에서 맡기로 의장단 구성에 합의함에 따라 이날 오후 2시 열리는 제343회 국회 임시회에서 정세균 국회의장 후보가 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으로 선출될 것으로 확실시 된다.
9일 오후 열리는 제343회 국회 임시회는 유일한 8선의 최연장자인 새누리당 서청원 의원이 임시 의장을 맡아 진행한다.
[프로필] 정세균 20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
▲1950년 전북 진안 출생 ▲전주 신흥고 ▲고려대 법학과 ▲미국 페퍼다인대학 경영학석사(MBA)(1988년 8월~1990년 4월) ▲경희대 경영학 박사 ▲고려대 총학생회장 ▲쌍용그룹 상무이사(1978년~1995년 6월)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 특별보좌역(1996년 6월~ 1997년 10월)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의장(2002년 12월~2003년 9월)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2003년 9월~2004년 5월)·원내대표(2005년 1월~)·당의장·원매대표(2005년 10월~2006년 1월)·당의장(2007년 2~7월) ▲산업자원부 장관(2006년 2월~2007년 1월) ▲통합민주당 상임고문(2007년 8월~ 2008년 4월) ▲민주당 대표(2007년 8월~ 2010년 8월) ▲민주당 최고위원(2010년 10월~ 2012년 12월) ▲민주통합당 상임고문(2011년 12월~) ▲15·16·17·18대(전북 진안·무주·장수·임실)·19·20대(서울 종로구) 국회의원(6선).
▲1950년 전북 진안 출생 ▲전주 신흥고 ▲고려대 법학과 ▲미국 페퍼다인대학 경영학석사(MBA)(1988년 8월~1990년 4월) ▲경희대 경영학 박사 ▲고려대 총학생회장 ▲쌍용그룹 상무이사(1978년~1995년 6월)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총재 특별보좌역(1996년 6월~ 1997년 10월)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의장(2002년 12월~2003년 9월)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2003년 9월~2004년 5월)·원내대표(2005년 1월~)·당의장·원매대표(2005년 10월~2006년 1월)·당의장(2007년 2~7월) ▲산업자원부 장관(2006년 2월~2007년 1월) ▲통합민주당 상임고문(2007년 8월~ 2008년 4월) ▲민주당 대표(2007년 8월~ 2010년 8월) ▲민주당 최고위원(2010년 10월~ 2012년 12월) ▲민주통합당 상임고문(2011년 12월~) ▲15·16·17·18대(전북 진안·무주·장수·임실)·19·20대(서울 종로구) 국회의원(6선).
국민의당 국회 부의장 후보로는 4선의 박주선 의원이 선출됐고, 새누리당 국회 부의장 후보는 이날 오후 1시30분 의원총회를 열어 5선의 심재철 의원과 4선의 김정훈 의원이 당내 경선 투표를 실시해 부의장 후보를 선출할 예정이다.
여야 3당은 또 18개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과 새누리당이 각각 8개씩 상임위원장을 맡고, 국민의당이 2개 상임위원장을 맡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환경노동위원회·외교통일위원회·보건복지위원회·국토교통위원회·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여성가족위원회·윤리위원회 등 8개 상임위원장을 맡기로 했다.
새누리당은 운영위원회·법제사법위원회·기획재정위원회·정무위원회·안전행정위원회·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정보위원회·국방위원회 등 8개 상임위원장을 차지했다.
국민의당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산업통상자원위원회 등 2개 상임위원장을 맡기로 했다.
18개 상임위원장은 오는 13일 오전 10시 열리는 20대 국회 개원식 후에 선출할 예정이다.
◆20대 국회 여야 정당별 의석 수
▲새누리당= 122석(지역구 105석, 비례대표 17석)
▲국민의당= 38석(지역구 25석, 비례대표 13석)
▲정의당= 6석(지역구 2석, 비례대표 4석)
▲무소속= 11석
▲새누리당= 122석(지역구 105석, 비례대표 17석)
| AD |
▲더불어민주당= 123석(지역구 110석, 비례대표 13석)
▲국민의당= 38석(지역구 25석, 비례대표 13석)
▲정의당= 6석(지역구 2석, 비례대표 4석)
▲무소속= 11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