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2012년 18대 대선 당시 부천지역 최종 투표율 75.5%, 지난해 4.13 총선 당시 부천지역 최종 투표율 57.0% 보다 높은 수치다.
제18대 대선에서 전국 최총 투표율은 75.8%, 경기도는 74.9%, 부천시 최종 투표율은 74.7%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4.13 총선(20대 총선)에서 전국 최종 투표율은 58.0%, 경기도 최종 투표율은 57.5%, 부천시 최종 투표율은 56.9%를 기록했다.
부천시 36개 동별 최종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
<원미갑>
심곡2동 41.67%, 심곡1동 45.64%, 심곡3동 46.99%, 원미2동 48.93%, 소사동 45.18%, 원미1동 49.45%, 역곡1동 51.37%, 역곡2동 47.84%, 춘의동 51.65%, 도당동 51.70%.
<원미을>
중동 52.07%, 상동 51.40%, 상1동 51.82%, 중4동 53.72%, 약대동 51.04%, 중1동 53.87%, 중2동 54.68%, 중3동 55.98%, 상2동 53.01%, 상3동 55.98%.
<소사구>
심곡본동 47.66%, 심곡본1동 46.56%, 송내1동 54.59%, 송내2동 54.71%, 소사본동 47.45%, 소사본3동 55.26%, 괴안동 49.29%, 범박동 55.28%, 역곡3동 51.83%,
<오정구>
성곡동 52.01%, 고강본동 49.53%, 고강1동 48.80%, 오정동 53.54%, 원종1동 49.13%, 원종2동 51.28%, 신흥동 50.31%.
한편, 부천시 36개동(洞) 가운데 이번 19대 대선에서 유권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성곡동(3만6천660명), 중1동(2만8천792명), 중2동(2만7천304명), 소사본3동(2만7천247명), 범박동(2만6천736명), 상3동(2만5천806명), 고강본동(2만5천688명), 상2동(2만4천258명), 송내2동(2만3천295명) 순 이었고, 소사동이 8천333명으로 가장 적었다.
투표율은 중3동(55.98%)과 상3동(55.98%)이 가장 높았고, 범박동(55.28%), 소사본3동(55.26%), 송내2동(54.71%), 중2동(54.68%), 송내1동(54.59%), 중1동(53.87%), 중4동(53.72%), 오정동(53.54%), 상2동(53.01%), 상1동(52.82%), 중동(52.07%), 성곡동(52.01%), 역곡3동(51.83%), 도당동(51.70%), 춘의동(51.65%), 상동(51.40%), 역곡1동(51.37%), 원종2동(51.28%), 약대동(51.04%), 신흥동(50.31%) 등 22개동이 50%가 넘는 투표율을 기록했다.
나머지 13개동은 45~49%의 투표율을 기록했고, 유일하게 심곡2동이 41.67%의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부천시 오후 7시 투표율 72.0%- 동별 투표율은?
[2보] 부천시는 171개 투표소에서 오후 7시 기준 전체 유권자 70만5천885명(선거일 투표자 52만4천240명+사전투표자ㆍ거소ㆍ선상ㆍ재외투표 신고인수 18만1천645명) 가운데 50만8천840명(선거일 투표 32만7천789명 + 관내 사전투표자 18만691명)이 투표에 참여해 72.0%의 투표율을 기록 중이다.
이는 2012년 18대 대선 당시 부천지역 최종 투표율 75.5%보다는 낮은 추치이고, 지난해 4.13 총선 당시 부천지역 최종 투표율 57.0% 보다는 높은 수치다.
제18대 대선에서 전국 최총 투표율은 75.8%, 경기도는 74.9%, 부천시 최종 투표율은 74.7%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4.13 총선(20대 총선)에서 전국 최종 투표율은 58.0%, 경기도 최종 투표율은 57.5%, 부천시 최종 투표율은 56.9%를 기록했다.
오후 7시 기준 동별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
<원미갑>
심곡2동 39.59%, 심곡1동 43.38%, 심곡3동 43.89%, 원미2동 46.52%, 소사동 43.13%, 원미1동 47.56%, 역곡1동 49.20%, 역곡2동 45.60%, 춘의동 49.01%, 도당동 48.82%.
<원미을>
중동 49.50%, 상동 49.16%, 상1동 50.29%, 중4동 51.92%, 약대동 48.38%, 중1동 51.37%, 중2동 52.24%, 중3동 53.35%, 상2동 50.54%, 상3동 53.24%.
<소사>
심곡본동 45.56%, 심곡본1동 43.91%, 송내1동 51.88%, 송내2동 51.99%, 소사본동 45.17%, 소사본3동 52.39%, 괴안동 46.57%, 범박동 52.77%, 역곡3동 49.50%,
<오정>
성곡동 49.31%, 고강본동 46.68%, 고강1동 46.16%, 오정동 50.71%, 원종1동 46.67%, 원종2동 48.22%, 신흥동 48.26%.
부천시 오후 6시 현재 투표율 69.3%- 동별 투표율은?
[1보] 부천시는 171개 투표소에서 오후 6시 기준 전체 유권자 70만5천885명(선거일 투표자 52만4천240명+사전투표자ㆍ거소ㆍ선상ㆍ재외투표 신고인수 18만1천645명) 가운데 50만8천840명(선거일 투표 32만7천789명 + 관내 사전투표자 18만691명)이 투표에 참여해 72.0%의 투표율을 기록 중이다.
이는 2012년 18대 대선 당시 부천지역 최종 투표율 75.5%보다는 낮은 추치이고, 지난해 4.13 총선 당시 부천지역 최종 투표율 57.0% 보다는 높은 수치다.
제18대 대선에서 전국 최총 투표율은 75.8%, 경기도는 74.9%, 부천시 최종 투표율은 74.7%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4.13 총선(20대 총선)에서 전국 최종 투표율은 58.0%, 경기도 최종 투표율은 57.5%, 부천시 최종 투표율은 56.9%를 기록했다.
오후 6시 기준 동별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
<원미갑>
심곡2동 37.45%, 심곡1동 41.35%, 심곡3동 41.31%, 원미2동 44.23%, 소사동 41.11%, 원미1동 44.50%, 역곡1동 46.41%, 역곡2동43.16%, 춘의동 46.41%, 도당동 45.81%.
<원미을>
중동 43.43%, 상동 47.05%, 상1동 48.00%, 중4동 48.82%, 약대동 45.73%, 중1동48.83%, 중2동 49.92%, 중3동 50.98%, 상2동 48.09%, 상3동 50.55%.
<소사>
심곡본동 43.49%, 심곡본1동 41.59%, 송내1동 49.66%, 송내2동 49.64%, 소사본동 42.70%, 소사본3동 49.83%, 괴안동 44.24%, 범박동 50.30%, 역곡3동 47.04%,
<오정>
성곡동 46.73%, 고강본동 44.33%, 고강1동 43.64%, 오정동 47.79%, 원종1동 44.30%, 원종2동 45.72%, 신흥동 45.56%.
부천시 오후 5시 현재 투표율 69.3%- 동별 투표율은?
[속보] 부천시는 171개 투표소에서 오후 5시 기준 전체 유권자 70만5천885명(선거일 투표자 52만4천240명+사전투표자ㆍ거소ㆍ선상ㆍ재외투표 신고인수 18만1천645명) 가운데 48만9천481명(선거일 투표 30만만8천790명 + 관내 사전투표자 18만691명)이 투표에 참여해 69.3%의 투표율을 기록 중이다.
이는 2012년 18대 대선 당시 같은 시간대 부천지역 투표율 69.4% 보다는 조금 낮은 편이고, 지난해 4.13 총선 당시 같은 시간대 부천지역 52.3% 보다 높은 수치다.
제18대 대선에서 전국 최총 투표율은 75.8%, 경기도는 74.9%, 부천시 최종 투표율은 74.7%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4.13 총선(20대 총선)에서 전국 최종 투표율은 58.0%, 경기도 최종 투표율은 57.5%, 부천시 최종 투표율은 56.9%를 기록했다.
오후 5시 기준 동별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
<원미갑>
심곡2동 34.75%, 심곡1동 38.80%, 심곡3동 38.94%, 원미2동 41.46%, 소사동 38.97%, 원미1동 41.65%, 역곡1동 44.84%, 역곡2동 40.77%, 춘의동 43.83%, 도당동 42.64%.
<원미을>
중동 44.26%, 상동 44.72%, 상1동 45.75%, 중4동 45.97%, 약대동 45.27%, 중1동 45.96%, 중2동 47.04%, 중3동 47.78%, 상2동 45.32%, 상3동 47.55%.
<소사>
| AD |
심곡본동 41.08%, 심곡본1동 39.28%, 송내1동 46.89%, 송내2동 46.84%, 소사본동 39.86%, 소사본3동 46.98%, 괴안동 41.68%, 범박동 47,.76%,
역곡3동 44.40%,
<오정>
성곡동 44.00%, 고강본동 41.68%, 고강1동 41.37%, 오정동 44.84%, 원종1동 41.82%, 원종2동 42.75%, 신흥동 4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