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ㆍ칼럼

더부천 사설
토요&월요 칼럼
스크린 이야기
건강 칼럼
논평&칼럼
기고
토요창(窓)
더부천 칼럼
민화(民畵) 칼럼
몽탄산말

탑배너

[기고] 경기도, 음악산업 질적ㆍ양적 기반 마련- 염종현 경기도의회 문광위원장
“21세기 유망산업으로 부각… 재능있는 음악인들 제도적 지원해야” 
더부천 기사입력 2017-08-09 09:53 l 부천의 참언론- 더부천(The부천) storm@thebucheon.com 조회 8740


염종현 경기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부천1)

최근 한국의 인기 가수 ‘트와이스’가 일본 진출 선언 한달 만에 20만장의 앨범 판매를 기록, ‘오리콘 데일리 차트 Top5’의 자리를 굳건히 지켜오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현재 이들의 앨범이 장당 5만원에 판매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발매 한달 만에 대략 100억 원을 벌어들인 셈이다.

이처럼 ‘음악산업’은 미디어를 매개로 문화상품을 생산ㆍ유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거대한 생산 설비나 자본이 없이도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지식만으로도 부(富)를 창출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또한 문화산업 전 영역에 걸쳐 필수적인 요소일 뿐만 아니라 파급력이 높고, 정보통신산업의 발달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21세기 유망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음악산업에서 파생된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문화ㆍ서비스ㆍ미디어 분야를 넘어 관광ㆍ패션ㆍ전자 등 여타 산업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서 예로 든 ‘트와이스’는 데뷔 당일 쇼케이스를 통해 자신들의 캐릭터가 그려진 티셔츠, 액세서리, 전자제품 등 소위 ‘굿즈(Goodsㆍ연예인 관련 파생 상품)’를 15억 원이나 팔아 치우면서 한류 스타의 위상을 과시한 바 있다.

문제는 이러한 무한한 부가가치에도 불구하고, 현재 음악산업은 제작 및 유통에 있어 대형 기획사 위주의 편향된 시장구조를 띄고 있다는 점이다.

이같은 다양성의 한계로 인해 음악성이 있어도 시장에서 외면 받는 음악인들 역시 많은 것이 사실이며, 이는 질적 성장을 더디게 만들어 전체 음악산업의 기반을 흔들 수도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제는 재능 있는 음악인들을 제도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편향된 음악산업의 구조를 개선하고, 시장 진입장벽을 낮춰 음악산업의 양적ㆍ질적 향상을 함께 도모해야 할 시점이다.

이 시점에 우리가 주목해야 할 성공사례는 세계 3대 대중음악 수출국으로 발돋움한 스웨덴을 들 수 있다. 실제로 스웨덴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1만개 이상에 달하는 소규모 ‘음악 스튜디오 클러스터’를 조성ㆍ지원함으로써 이같은 성과를 이룩했다.

이처럼 스웨덴을 음악강국으로 이끈 ‘음악 클러스터’는 창작, 공연 음반제작부터 유통 소비까지 모든 과정을 한 곳에서 가능하도록 해 줌으로써 관련 종사자들이 안정적으로 음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는 데 그 성공 요인이 있다 할 수 있겠다.

경기도에서도 이같은 성공사례에 못지않게 지난 7월 전국 최초로 음악산업 육성의 지원 근거를 마련해 주목을 받고 있다.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인 필자의 주도로 발의ㆍ가결된 ‘경기도 음악산업 육성 및 진흥 조례’가 그것이다.

‘2016년 음악산업 백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경기도의 음악산업 사업체수는 7천954개로 전체의 21.6%를 차지해 서울 다음으로 사업체가 많다. 매출액 또한 서울에 이어 6천803억 원(13.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는 만큼 경기도는 전국 어느 곳보다 음악산업의 잠재력이 큰 지역이다.

무엇보다 이번 조례를 통해 대형기획사와 K-POP 등 특정 장르에 편중돼 있는 기존 시장구조를 개선하고, 음악적 재능을 갖춘 음악산업 종사자들의 독창성과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지자체 차원에서 처음으로 마련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 AD |
이번에 제정된 조례를 근거로 경기도는 음악산업 육성의 중장기 계획을 통해 체계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녹음실ㆍ소규모 스튜디오 구축과 지원 등 창작 여건을 확보함은 물론, 경기도 시ㆍ군과의 음악 클러스터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음악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다.

앞으로 ‘음악산업’이 재능 있는 음악인이면 누구나 시장에 진출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선순환적 음악창작 생태계 조성이 되길 기대해 본다.

염종현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배너
배너
배너
<저작권자 ⓒ 더부천(www.thebucheo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천시민과의 정직한 소통!… 부천이 ‘바로’ 보입니다.
인터넷 더부천 www.thebucheon.comㅣwww.bucheon.me
댓글쓰기 로그인

사설ㆍ칼럼
등록된 기사가 없습니다
· 4월 4일부터 제21대 대통령선거 예비후..
· ‘경기형 과학고’ 부천·성남·시흥·..
· 부천시, 2025년 달라지는 행정ㆍ정책 ..
· 제21대 대통령선거 선거사무관계자 등..
· 경기도교육청, ‘경기교육 변호사 인력..
· 김동연 경기도지사, SNS 속 ‘저희 어..
· 경기도, ‘창설 제57주년 예비군의 날..
· 부천도시공사, ‘전자서명’ 확대로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