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독자마당 > 자유게시판

농촌지역 바이오매스 활용방안-농촌지역에 바이오매스 종류 및 발생량 |
|

* 농촌지역에 바이오매스 종류 및 발생량
지구상에서 1년간 발생되는 바이오매스량은 약 1,550억톤으로 석유의 매장량과 비슷한 수준이라 알려지고 있다. 농촌지역에서 발생되는 바이오매스는 주로 농업부문과 축산부문에서 발생되는데, 일부지역에서는 임산자원이나 식품가공부산물 및 도시폐기물 까지도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농산부문에서 넓은 의미의 바이오매스는 벼, 밭작물, 두류, 서류, 과수, 특용작물 등 농작물 생산에서 발생하는 주산물과 부산물로 나눌 수 있다. 벼의 경우 볏짚, 왕겨, 미강 등이 있다.
밭작물과 특용작물은 작물의 줄기 부분, 과수에서는 사과, 배, 포도, 복숭아 등의 과수원에서 발생하는 전정된 가지나 나무의 줄기, 뿌리 잎 등이 대표적인 바이오매스다. 축산부문에서는 소, 돼지, 닭 등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뇨도 있다.
농산부문에서 발생되는 바이오매스량은 작물별 단위면적당 발생량에 비례한다. 바이오매스 발생량은 볏짚이 가장 많은데, 10a당 건조상태로 653kg로 년간 약 6,000천톤에 이른다. 고구마 줄기는 646kg으로 작물별 단위면적당 발생량은 볏짚과 비슷한 량이지만 년간 발생량은 약 123천톤이다.
과수의 경우에는 단위면적당 발생량은 포도가 2,686kg/10a로 가장 많고, 사과, 배, 복숭아 순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간 바이오매스 발생량은 재배면적이 많은 사과가 570천톤으로 가장 많고, 포도가 483천톤으로 두번째에 많이 발생되고 있다.
가축분뇨 발생량은 가축분뇨 배출원단위와 가축사육두수로 산출하고 있는데 년간 41,743천톤이며, 음식물쓰레기는 5,120천톤이 발생되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류의 처리방법은 가축분뇨는 퇴비화가 78.8%, 액비화 5.5%, 해양배출 3.5%이며, 음식물류는 재활용 97.1%, 매립 0.7%, 소각 2.2%인데 재활용은 주로 사료화와 퇴비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자료제공 : 농촌진흥청 기후변화생태과 박우균 연구관(031-290-0239) |
 |
감동의 동영상- 어린 곰과 재규어의 생존대결 |
 |
온실가스 |
|
|
|